티스토리 뷰
자바 스크립트에서 setTimeout은 두개의 인자를 받습니다. 첫 번째 인자에는 일정 시간 후 실행될 함수를 정읳바니다. 그리고 두번 째 인자에는 지연 시간을 지정합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|
const timer = {
run : function() {
if (this.t) console.log('이미 타이머가 있습니다.');
this.t = setTimeout(function() {
console.log('1초 뒤에 실행됩니다.');
}, 1000);
},
cancle : function() {
if(this.t) clearTimeout(this.t);
this.t=undefined;
}
};
timer.run();
|
cs |
setTimeout 메소드 자체는 비동기로 실행되는 코드입니다. 아래 예제를 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.
1
2
3
4
5
|
setTimeout(() => {
console.log('Javascript');
}, 0);
console.log('Javascript2');
|
cs |
보는바와 같이 이전 setTimeout이 아무리 지연 시간이 0으로 되어있어도. console.log('Javascript2') 코드 다음으로 실행 스택이 쌓입니다.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romise 이해하기 (0) | 2019.07.20 |
---|---|
setInterval에 관하여 (0) | 2019.07.20 |
반복 가능한 규약(Iterable Protocol)과 반복자 규약(Iterator protocol) (0) | 2019.07.20 |
모듈 이해하기 (0) | 2019.07.18 |
Get, Set을 통한 속성 접근 관리하기 (0) | 2019.07.17 |
댓글